굿모닝 세션으로 2일차를 시작했다.
굿모닝 세션이란?
BE part 인원들이 매일 아침 9시에 zoom 회의실에 입장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 시간에 학생들의 출석체크 및 간단한 컨디션 체크를 진행한다. 또한 간단하게 어제 배웠던 것 들을 리뷰하고, 오늘 무엇을 진행하는지 설명해주는 시간을 가진다. 굿모닝 세션의 가장 큰 목적은 학생들이 자리에 앉아 학습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한다.
오늘의 학습 내용은 [Development] 기초 를 진행했다.
컴퓨터와 프로그래밍에 대한 깊이 있는 공학적 이해가 아니라, 앞으로 웹 백엔드 개발 기술을 익히는 데에 있어 필요한 최소한의 교양 지식, 컴퓨터의 기본개념을 학습하는 단계로 생각하면 좋을것 같다.
컴퓨터와 프로그래밍의 이해
컴퓨터의 정의란?
입력받은 데이터를 / 정해진 규칙대로 / 처리해서 처리 결과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전자 장치이다.
이 부분을 나누어 설명해 보자
- 입력받은 데이터를 - 하드웨어
- 컴퓨터는 사람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입니다.
- 즉, 컴퓨터는 데이터를 입력장치로 입력받습니다.
- 정해진 규칙대로 - 소프트웨어
- 정해진 규칙은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합니다.
- 처리해서 - 하드웨어
- 위에서 언급한 정해진 규칙대로 연산을 수행합니다.
- 즉,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를 통해 연산을 수행합니다.
- 처리 결과를 저장하고 - 하드웨어
-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 즉, 컴퓨터는 처리 결과물을 기억장치에 저장합니다.
- 출력하는 전자 장치이다 - 하드웨어
- 컴퓨터는 데이터 처리 결과를 사람이 느낄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사람에게 전달해줍니다.
- 즉, 컴퓨터는 처리 결과물을 출력장치로 출력합니다.
프로그래밍의 정의란?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으로써,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계된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코드로 작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프로그램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나누어 설명해보자.
- 프로그램
-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다.
- 프로그램은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문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 프로그래밍 언어
- 컴퓨터는 사람의 언어를 이해할 수 없다.
- 사람이 컴퓨터에 문제해결을 주문하려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설명해주어야한다.
- 컴퓨터는 기계어를 사용한다.
- 컴퓨터의 언어와 사람의 언어를 매개해주는 언어가 바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컴파일의 정의란?
소스 코드를 작성한 후에 컴퓨터에 내용을 전달하려면 소스 코드를 기계어 코드로 변환시켜주어야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로 번역하는 과정을 컴파일이라고 한다. 컴파일이 완료된 코드는 이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다.
빌드의 정의란?
빌드는 작성한 소스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산출물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 과정 중에 소스 코드를 기계어 코드로 번역하는 컴파일 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컴파일을 마친 코드는 기계어 코드로 번역되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을 뿐, 아직 사용자가 소스코드를 실행할 수는 없습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exe 또는 .msi 확장자를 가진 실행 파일로 만들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빌드 라고한다. 빌드가 완료되어야 소스 코드가 비로소 실행시킬 수 있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완성된다.
'코드 스테이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드 스테이츠 04/17 - Java 기초 1 (0) | 2023.04.17 |
---|---|
코드 스테이츠 4/14 - Git (0) | 2023.04.14 |
코드 스테이츠 4/13 - CLI (리눅스, Ubuntu) (0) | 2023.04.13 |
코드 스테이츠 4/12 - 웹 (0) | 2023.04.12 |
코드 스테이츠 04/11 - 시작 (0) | 2023.04.11 |